오늘은 김치찌개에 참치와 두부를 함께 넣었습니다. 참치의 고소한 맛과 두부의 식감과 부드러움이 의외로 김치찌개 재료로 잘 어울립니다.
STEP 2/24
대파 2대는 어슷하게 썰어 줍니다. 파를 큼직하게 많이 썰어 주니 찌개의 맛이 더욱 풍부해집니다.
STEP 3/24
묵은지면 더욱 좋지만 잘 익은 김치도 제 몫을 합니다. 1/2포기 준비했습니다.
STEP 4/24
김치를 냄비에 넣습니다.
STEP 5/24
그 위로 대파를 넣어 줍니다.
STEP 6/24
두부 한 모도 보기 좋게 잘라 줍니다. 냄비에 부서지지 않게 조심히 잘 넣어 줍니다.
STEP 7/24
밥하면서 준비한 쌀뜨물도 넣어 줍니다.
김치찌개는 잘 졸여야 맛있으니 물을 넉넉하게 넣어 주세요.
쌀뜨물이 없으면 생수도 좋습니다.
STEP 8/24
김치 국물도 있으면 넣어 주세요.
더욱 깊은 맛을 내줍니다.
STEP 9/24
참치 한 캔 따줍니다.
고소한 맛을 느끼시려면 국물을 다 넣어주고, 담백한 맛을 즐기시려면 국물 빼고 넣어 주세요.
STEP 10/24
저는 국물까지 다 넣었습니다. 고춧가루도 넣고 김치도 칼칼하니 기름진 맛은 사라지고 참치의 고소한 맛이 배가 됩니다.
STEP 11/24
고춧가루도 2스푼 정도 넣어 줍니다.
더 칼칼하게 드시려면 고춧가루 더 넣어 주거나 청양고추 넣어 주면 아주 좋습니다.
STEP 12/24
멸치 액젓 한 스푼 넣어 줍니다. 맛이 더 깊어집니다.
STEP 13/24
간장 한 스푼도 넣어 주세요.
간장은 소금에 비해 그리 짜지 않고 좋은 향을 내주는 역할을 합니다.
한 스푼이면 적당할 듯합니다.
STEP 14/24
설탕도 넣어 주면 감칠맛이 나면서 맛이 더욱 업그레이드됩니다. 기호에 따라 1~2 스푼 넣어 주세요.
STEP 15/24
김치찌개에 간 마늘은 필수이지요.
기호에 따라 1~2 스푼 넣어 주세요.
간 마늘은 넣을 때와 안 넣을 때 맛이 상당히 다릅니다. 물론 넣을 때 맛이 더 좋은 거겠죠.
STEP 16/24
이제 재료는 다 들어갔습니다.
센 불로 팔팔 끓여 주면 됩니다.
STEP 17/24
센 불로 팔팔 끓여 주다 약불로 한참 졸여 줍니다. 물이 부족한 듯하면 더 넣으셔도 됩니다.
STEP 18/24
먹다 남은 수제비 반죽이 조금 있었습니다. 오늘은 김치찌개에 라면 사리 대신 수제비 사리 넣어 먹으려 합니다.
김치찌개가 완성된 후 수제비를 넣어 주세요.
STEP 19/24
조금씩 수제비 반죽 떠서 넣어 줍니다.
수제비는 떠 넣는 데 시간이 걸려 먼저 넣은 것과 나중에 넣은 것 익힘 정도가 다르니 불을 약하게 하고 반죽을 넣어 주세요.
STEP 20/24
수제비나 라면 사리는 넣으면 맛은 좋은데 김치찌개 특유의 칼칼함은 조금 약해집니다.
그래서 보통 식당에서 김치찌개 먹을 때는 반 정도 김치찌개 먹다가 라면사리 넣어 먹고 하는데 오늘은 수제비가 먹고 싶어 요리할 때 바로 넣습니다.
반죽을 다 떠서 넣으면 센 불로 한번 끓여 주면 됩니다.
가능하면 수제비는 따로 삶아 나중에 넣어주기 바랍니다. 김치찌개 국물이 조금 탁해졌어요.
STEP 21/24
수제비도 잘 익고 맛있는 참치두부 김치찌개가 완성이 되었어요.
STEP 22/24
김치찌개에 계란 프라이는 찰떡궁합입니다.
STEP 23/24
계란 프라이와 김치찌개를 같이 놓고 찍으니 더욱 군침이 돌게 되네요.
오늘도 밥 2공기 다 먹을 예정입니다.
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군요.
STEP 24/24
맛있게 다 먹고 드립 커피 한 잔씩 마십니다. 참치와 두부 넣은 김치찌개와 아메리카노 드립 커피 ㅎㅎ
수제비나 라면사리는 따로 삶아 넣으시거나, 김치찌개 한참 드신 후 넣어 주면 찌개 국물이 탁해지지 않습니다. 물을 넉넉히 넣어주고 약불로 졸여주면 더욱 깊은 맛이 납니다.